- 파일의 용량을 줄입니다.
- Flash 파일의 용량이 클수록 사용자 PC내 메모리에서 저장하며 연산 해야 하기 때문에 CPU 점유율이 높아집니다. 따라서, Flash 파일 자체의 용량을 줄이면 CPU점유율도 따라 줄어듭니다.
- 과다한 Symbol 사용을 줄입니다.
-
과다한 Symbol 사용은 파일 용량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지만, CPU 점유율을 높이는 원인 중 하나가 될 수 있습니다. 따라서, Tween을 안 하는 Object는 Symbol 등록을 하지 않습니다.
만약, 수많은 Symbol로 이루어졌으나 움직임이 필요 없다면, 포토샵에서 그림 자체를 Import 해오는 대안이 있습니다. 잦은 반복동작의 경우 setProperty("main", _highquality, "0"); 등과 같은 Action 등으로 Quality를 떨어뜨리는 대신 CPU 점유율은 낮출 수 있습니다. - 잘못되거나 부적합한 Action의 사용을 자제합니다.
- 변수와 Action 하나 하나가 메모리에 영향을 미치므로 필요 없는 함수나, 잘못된 함수가 없는지 확인해보세요. (예: onEnterFrame에 과도한 연산 등)
- 불필요한 Gradation의 사용을 자제합니다.
- 불필요한 Keyframe, Frame, Layer, Label은 반드시 삭제합니다.
- 최대한 Flash의 Vector-image를 활용합니다.
-
Bitmap-image를 Flash로 Import 할 경우 실제로 사용될 크기에 맞추어서 Import 합니다.
또한, 외부에서 불러온 Vector-image는 Modify 메뉴 안의 Optimize를 이용해 곡선을 최적화 합니다. - 용량이 가장 작은 Font를 선택합니다.
- Font마다 용량이 다르므로 비슷한 Font로 용량이 가장 작은 Font를 선택합니다.
- 과다한 alpha값의 남용을 자제합니다.
- 가능하다면 Alpha를 대신해서 Tint, Brightness를 사용합니다.
- 불필요한 Shape-tween사용을 자제합니다.
-
Shape-tween은 Motion-tween보다 용량이 더 큽니다. 따라서 최대한 Shape-tween은
Motion-tween으로 대체 사용합니다. - Frame의 효과를 분산합니다.
- Test Movie >> View >> Bandwith Profiler 메뉴를 선택하여, 동일한 Frame에 많은 양의 효과(고용량)가 있는지 살펴보고, 집중되어 있는 Frame의 효과를 분산시킵니다.
- Sound삽입 시 작은 용량을 불러서 반복재생합니다.
- Sound는 되도록 짧은 midi를 반복시키거나 sound properties에서 용량을 줄여 사용합니다.